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3D

    징_1번 사진
    /
    3901 6
    공유하기
    관련태그
    #금속 #농악 #불교음악 #무속음악 #대취타 #타악기 #쇠북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17
    •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672.29 MB
    저작물 설명

    지금도 다양한 연주 분야에 사용되는 징 자체를 활용하여 관광 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실제로도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자세하고 세밀하게 제작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징의 울림은 궁중음악에서 농악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음악을 다양한 사람들에게 알리고 국악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징은 농악이나 불교음악, 무속음악, 군악인 대취타에 편성되는 금속 타악기이다. 쇠북이라는 한글 이름 외에 용도에 따라 정(鉦), 금(金), 금고(金鼓), 금정(金鉦), 대금(大金), 태징(太鉦) 등의 명칭이 다양하게 쓰였다. 징은 손에 들고 치는 방법, 사물놀이를 할 때처럼 틀에 매달아 앉아서 치는 방법, 굿을 할 때처럼 엎어놓고 치거나 시나위 합주를 할 때처럼 왼손을 들고 오른손에 채를 잡고 치는 방법이 있다. 농악에서는 징을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징은 보통 소리를 내는 몸통과 악기를 손에 들기 위해 매단 끈으로 이루어지며 채가 함께 구성된다. 군악이나 농악에서 사용되는 징은 모두 끈이 있으나 무속 음악용은 주로 엎어 놓고 치기 때문에 끈을 매는 구멍을 뚫지 않는다. 징 바닥에 그려진 나이테 모양의 무늬는 상사라고 하며, 징 채가 닿는 부분은 봉뎅이, 전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시울, 옆에 각진 부분은 귀미라고 한다. 징 전두리는 소리의 깊이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짧으면 파장이 짧아 얕은 소리가 나고 지나치게 길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징 채의 끝은 방울같이 불룩하게 만들고 헝겊으로 망태를 씌운다. 무속에서는 징의 채를 오색 끈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하며, 농악에 사용하는 경우 짚을 엮어 만들기도 한다. 다른 기교보다는 소리의 울림이 중요하므로 음악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악의 흐름을 살려준다.

    저작물 설명
    지금도 다양한 연주 분야에 사용되는 징 자체를 활용하여 관광 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실제로도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자세하고 세밀하게 제작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징의 울림은 궁중음악에서 농악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음악을 다양한 사람들에게 알리고 국악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징은 농악이나 불교음악, 무속음악, 군악인 대취타에 편성되는 금속 타악기이다. 쇠북이라는 한글 이름 외에 용도에 따라 정(鉦), 금(金), 금고(金鼓), 금정(金鉦), 대금(大金), 태징(太鉦) 등의 명칭이 다양하게 쓰였다. 징은 손에 들고 치는 방법, 사물놀이를 할 때처럼 틀에 매달아 앉아서 치는 방법, 굿을 할 때처럼 엎어놓고 치거나 시나위 합주를 할 때처럼 왼손을 들고 오른손에 채를 잡고 치는 방법이 있다. 농악에서는 징을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징은 보통 소리를 내는 몸통과 악기를 손에 들기 위해 매단 끈으로 이루어지며 채가 함께 구성된다. 군악이나 농악에서 사용되는 징은 모두 끈이 있으나 무속 음악용은 주로 엎어 놓고 치기 때문에 끈을 매는 구멍을 뚫지 않는다. 징 바닥에 그려진 나이테 모양의 무늬는 상사라고 하며, 징 채가 닿는 부분은 봉뎅이, 전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시울, 옆에 각진 부분은 귀미라고 한다. 징 전두리는 소리의 깊이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짧으면 파장이 짧아 얕은 소리가 나고 지나치게 길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징 채의 끝은 방울같이 불룩하게 만들고 헝겊으로 망태를 씌운다. 무속에서는 징의 채를 오색 끈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하며, 농악에 사용하는 경우 짚을 엮어 만들기도 한다. 다른 기교보다는 소리의 울림이 중요하므로 음악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악의 흐름을 살려준다.
    다운로드

    ※ 3D 뷰어는 익스플로러에서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