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세총통

    3D

    세총통_1번 사진
    세총통_2번 사진
    세총통_3번 사진
    세총통_4번 사진
    세총통_5번 사진
    세총통_6번 사진
    세총통_7번 사진
    세총통_8번 사진
    세총통_9번 사진
    세총통_10번 사진
    세총통_11번 사진
    세총통_12번 사진
    /
    70 26
    공유하기
    관련태그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총통류 #총통 #세총통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공공누리 유형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설명

    세총통(細銃筒)은 세종 때 만든 휴대용 화기로, 화약을 넣는 약실과 몸체인 총신 사이에 2개의 마디를 두고 약실 부분은 약간 도톰하게 만들었다. 총신 하단에 ‘장충신(張忠信)’ 3자가 음각되어 있다. 세총통은 조선시대 총통 중에서 가장 작은 화기이며, 1432년에 만들었으나 사정거리가 겨우 200보 밖에 되지 않아서 존폐론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1437년 평안도에 많이 보내졌는데, 휴대와 발사가 모두 간편하여 어린이와 부녀자도 쉽게 다룰 수 있었으므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으며, 적과 싸울 때는 말 위에서 많이 소지하여 연속발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禮)』의 「군례(軍禮)」 ‘세총통조’에서는 그 제원을 약통장(藥筒長)·격목통장(檄木筒長)·취통장(觜筒長) 등으로 구분하고 총길이는 4치4분8리, 무게는 3량5전이라 하였고, 발사물로는 차세전(次細箭)을 사용하며, 발사할 때는 총통을 철흠자(鐵欠子, 철로 만든 집게)로 집어 사용한다 하였다. 이 세총통은 거의 흠집 없이 그대로 보존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가장 오래된 최소형 화기 중 하나이다.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제854호 지정품.

    저작물 설명
    세총통(細銃筒)은 세종 때 만든 휴대용 화기로, 화약을 넣는 약실과 몸체인 총신 사이에 2개의 마디를 두고 약실 부분은 약간 도톰하게 만들었다. 총신 하단에 ‘장충신(張忠信)’ 3자가 음각되어 있다. 세총통은 조선시대 총통 중에서 가장 작은 화기이며, 1432년에 만들었으나 사정거리가 겨우 200보 밖에 되지 않아서 존폐론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1437년 평안도에 많이 보내졌는데, 휴대와 발사가 모두 간편하여 어린이와 부녀자도 쉽게 다룰 수 있었으므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으며, 적과 싸울 때는 말 위에서 많이 소지하여 연속발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禮)』의 「군례(軍禮)」 ‘세총통조’에서는 그 제원을 약통장(藥筒長)·격목통장(檄木筒長)·취통장(觜筒長) 등으로 구분하고 총길이는 4치4분8리, 무게는 3량5전이라 하였고, 발사물로는 차세전(次細箭)을 사용하며, 발사할 때는 총통을 철흠자(鐵欠子, 철로 만든 집게)로 집어 사용한다 하였다. 이 세총통은 거의 흠집 없이 그대로 보존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가장 오래된 최소형 화기 중 하나이다.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제854호 지정품.
    다운로드

    ※ 3D 뷰어는 익스플로러에서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