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구조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구조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구조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구조 (도면)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구조 (도면)_4번 사진
    /
    75 32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이 총(塚)은 주의 깊고 세심하게 가공한 화강석재(花崗石材)로 7중(重)의 방단(方壇)을 피라미드식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단지 꼭대기 부분은 복분(覆盆)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절석(切石)을 쓰지 않고 콘크리트로 굳혀져 있다. 총(塚)은 서남쪽에 면하여 구축되었다. 따라서 서쪽의 우각(隅角)은 거의 방위선(方位線) 상에 놓여져 있다. 기단(基壇, 제1단) 아래에는 거대한 토대석(土臺石)이 깔려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술하겠다. 기단의 석체(石?)는 4중(重)이고 정면의 저변(底邊)의 길이는 102척이다. 다른 3면도 거의 동일하다. 높이는 10척에 이른다. 제2단 내지 제7단의 석체는 각(各) 3중(重)이고 올라감에 따라서 각 단의 높이를 체감(遞減)하였다. 여섯 단 합쳐서 28척, 기단을 부가해서 38척으로 측정하였다. 사변(四邊)의 길이도 제7단에 있어서는 기단의 반 이상을 줄여 45척 정도로 보이고 있다. 장군총의 전모는 언뜻 보기에 매우 훌륭하게 갖추어져 있지만 중간 부분 이상에는 파손된 곳이 많다. 특히 정면이 그러하다. 제7단과 같은 것은 거의 원형을 상실하고 있다. 그러나 제7단의 윗부분 우측면 및 배면(背面)은 대략 뒤떨어진 예전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갈석(葛石)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촉꽂이 구멍(?孔)이 뚫어져 있는 것이 보인다. 다음으로 제7단의 상면(上面)을 살펴보면 주변 갈석의 안쪽에는 편평(扁平)한 대석(大石)을 조금 위쪽 방향으로 기울게 하여 포열(布列)하고 그 간극(間隙)에는 칠식(漆?)을 메우고 있다. 그리고 중앙부-즉 총(塚)의 꼭대기 부분-는 지름 3촌 정도의 천석(川石)과 칠식으로 굳혔다. 갈석의 상면에 대하여 4척 정도 높아져 있다. 지금 그 사이에 떡갈나무 등의 잡목(雜木)이 나서 무성하고 매우 황폐해 있지만 본래 이 총(塚)의 최상부(最上部)는 통구(通溝)의 유적 중에 많이 볼 수 있는 방형(方形)의 작은 토분(土墳)과 같은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던 것이다. 제7단의 갈석(葛石) 상면(上面)에 있는 촉꽂이 구멍은 지름 약 3촌, 깊이 약 4촌이다. 배후(背後)의 일면(一面)과 우측면에 잘 남아 있다. 배면(背面)에 있어서는 왼쪽 가장자리에서 오른쪽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약 3척씩의 간격으로 모두 17개를 셀 수 있고 우측면에는 2척 3촌 정도의 간격으로 26개가 있다. 한편 총(塚)의 최상부에 기와 조각이 산재한 것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프랑스의 샤반느 교수(Prof. E. Chavannes)는 이들 촉꽂이 구멍을 주공(柱孔)이라 생각하고 총(塚) 위에서 기둥으로 지지되었던 기와지붕의 옥개(屋蓋)였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세키노(關野) 박사는 촉꽂이 구멍이 최상단의 연변(緣邊)에 있다는 점에서 이 설(說)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갈석을 따라서 엉겨 붙은 구란(勾欄)의 설치가 있었을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저작물 설명
    이 총(塚)은 주의 깊고 세심하게 가공한 화강석재(花崗石材)로 7중(重)의 방단(方壇)을 피라미드식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단지 꼭대기 부분은 복분(覆盆)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절석(切石)을 쓰지 않고 콘크리트로 굳혀져 있다. 총(塚)은 서남쪽에 면하여 구축되었다. 따라서 서쪽의 우각(隅角)은 거의 방위선(方位線) 상에 놓여져 있다. 기단(基壇, 제1단) 아래에는 거대한 토대석(土臺石)이 깔려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술하겠다. 기단의 석체(石?)는 4중(重)이고 정면의 저변(底邊)의 길이는 102척이다. 다른 3면도 거의 동일하다. 높이는 10척에 이른다. 제2단 내지 제7단의 석체는 각(各) 3중(重)이고 올라감에 따라서 각 단의 높이를 체감(遞減)하였다. 여섯 단 합쳐서 28척, 기단을 부가해서 38척으로 측정하였다. 사변(四邊)의 길이도 제7단에 있어서는 기단의 반 이상을 줄여 45척 정도로 보이고 있다. 장군총의 전모는 언뜻 보기에 매우 훌륭하게 갖추어져 있지만 중간 부분 이상에는 파손된 곳이 많다. 특히 정면이 그러하다. 제7단과 같은 것은 거의 원형을 상실하고 있다. 그러나 제7단의 윗부분 우측면 및 배면(背面)은 대략 뒤떨어진 예전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갈석(葛石)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촉꽂이 구멍(?孔)이 뚫어져 있는 것이 보인다. 다음으로 제7단의 상면(上面)을 살펴보면 주변 갈석의 안쪽에는 편평(扁平)한 대석(大石)을 조금 위쪽 방향으로 기울게 하여 포열(布列)하고 그 간극(間隙)에는 칠식(漆?)을 메우고 있다. 그리고 중앙부-즉 총(塚)의 꼭대기 부분-는 지름 3촌 정도의 천석(川石)과 칠식으로 굳혔다. 갈석의 상면에 대하여 4척 정도 높아져 있다. 지금 그 사이에 떡갈나무 등의 잡목(雜木)이 나서 무성하고 매우 황폐해 있지만 본래 이 총(塚)의 최상부(最上部)는 통구(通溝)의 유적 중에 많이 볼 수 있는 방형(方形)의 작은 토분(土墳)과 같은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던 것이다. 제7단의 갈석(葛石) 상면(上面)에 있는 촉꽂이 구멍은 지름 약 3촌, 깊이 약 4촌이다. 배후(背後)의 일면(一面)과 우측면에 잘 남아 있다. 배면(背面)에 있어서는 왼쪽 가장자리에서 오른쪽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약 3척씩의 간격으로 모두 17개를 셀 수 있고 우측면에는 2척 3촌 정도의 간격으로 26개가 있다. 한편 총(塚)의 최상부에 기와 조각이 산재한 것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프랑스의 샤반느 교수(Prof. E. Chavannes)는 이들 촉꽂이 구멍을 주공(柱孔)이라 생각하고 총(塚) 위에서 기둥으로 지지되었던 기와지붕의 옥개(屋蓋)였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세키노(關野) 박사는 촉꽂이 구멍이 최상단의 연변(緣邊)에 있다는 점에서 이 설(說)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갈석을 따라서 엉겨 붙은 구란(勾欄)의 설치가 있었을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