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석실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석실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석실 (도면)_2번 사진
    /
    83 22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석실은 제3단의 상면(上面)에 기저(基底)를 두고 총(塚)의 정면(正面), 즉 서남족의 일면(一面)에 입을 벌리고 있다. 현실(玄室)은 가로와 세로 모두 17척 정도로 높이도 거의 동일하다. 그 네 벽(四壁)은 세로 2척 5촌, 가로 4, 5척 내지 10척의 화강암(花崗巖)의 절석(切石)을 6중(重)으로 쌓고 그 위에는 사면(四面)에 각(各) 하나의 거대한 방주(方柱)를 가로로 놓아 선반받침(持送)으로 하였다. 천장에는 아주 큰 반석(盤石)을 얹고 있다. 총(塚)의 외관도 웅장하고 위대하지만 석실의 내부를 살펴보면 한층 더 그 느낌이 깊다. 연도(羨道)는 현실에서 27척의 길이로 방단의 바깥 면으로 통한다. 연도의 개석(蓋石)은 3개의 큰 돌로 이루어진다. 그 중 입구에 접하는 하나의 돌은 다른 것보다 한단(一段) 더 높게 놓여 있고 그것이 연도의 개석임과 동시에 제6 방단의 근석(根石)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그 하면(下面)의 가장자리는 특별한 가공에 의해서 내부로 요입(凹入)되고 그곳에 폐색용(閉塞用) 석재 대가 깔려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개석(蓋石) 바로 밑부터 현실의 벽과 서로 6척 5촌 떨어져 있는 곳까지의 사이에는 약간의 절석(切石)이 마치 현실 안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같은 모양을 이루어 잔존하는데 이것은 연도를 폐색한 용재(用材)가 본래의 위치를 상실한 것일 것이다. 따라서 연도가 완전히 폐색되어 있었을 때에 그 전면(前面)은 방단(方壇)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연도의 현실과 서로 접하고 있는 부분에는 그 개석(蓋石)의 하면(下面) 및 좌우 벽에 띠 모양의 조출(造出)이 있어 본래 그곳에 비석(扉石) 등이 기대어 세워져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된다. 현실의 바닥에는 네 벽(四壁)을 따라서 폭 1척 정도의 얕은 도랑이 뚫어져 있고 주축(主軸)에 병행하여 2개의 관대(棺臺)가 매우 심하게 파손된 상태로 남아 있다. 관대의 폭은 4척 5, 6촌, 길이는 11척 정도로 각 사변(四邊)에 조금 높은 주연(周緣)을 만들고 있다. 이상은 장군총 자체의 구조에 대해서인데 그 바깥 주위를 점검하면 우리들이 주목할 가치가 있는 2, 3개의 유구(遺構)가 존재한다. 우선 4중(重)으로 쌓인 제1 방단(方壇, 기단)의 기저(基底)에는 매우 커다란 토대석(土臺石)이 있다. 그 일부는 2척 수 촌(數寸)의 폭인데 기단(基壇) 밖으로 비어져 나오고 있다. 기단의 남쪽 가장자리에 대해서 살펴보면 일석(一石)의 폭원(幅員)은 정면·우측면 모두 15척 이상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기단 밑에 숨겨져 있는 전체의 크기를 상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그 주위에는 지름 수 척(數尺)의 편평한 돌을 전면에 빈틈없이 깔고 있다. 부석(敷石)의 범위는 위의 토대석 주변에서 지름 십 수 척의 사이로 넓어지고 바깥쪽을 향하여 다소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기단의 사면(四面)에는 그것에 기대어 세워져 있던 거대한 자연석이 있고 그 하단을 토대석 주변의 부석(敷石) 위에 놓았다. 일면마다 3개씩 놓았다.

    저작물 설명
    석실은 제3단의 상면(上面)에 기저(基底)를 두고 총(塚)의 정면(正面), 즉 서남족의 일면(一面)에 입을 벌리고 있다. 현실(玄室)은 가로와 세로 모두 17척 정도로 높이도 거의 동일하다. 그 네 벽(四壁)은 세로 2척 5촌, 가로 4, 5척 내지 10척의 화강암(花崗巖)의 절석(切石)을 6중(重)으로 쌓고 그 위에는 사면(四面)에 각(各) 하나의 거대한 방주(方柱)를 가로로 놓아 선반받침(持送)으로 하였다. 천장에는 아주 큰 반석(盤石)을 얹고 있다. 총(塚)의 외관도 웅장하고 위대하지만 석실의 내부를 살펴보면 한층 더 그 느낌이 깊다. 연도(羨道)는 현실에서 27척의 길이로 방단의 바깥 면으로 통한다. 연도의 개석(蓋石)은 3개의 큰 돌로 이루어진다. 그 중 입구에 접하는 하나의 돌은 다른 것보다 한단(一段) 더 높게 놓여 있고 그것이 연도의 개석임과 동시에 제6 방단의 근석(根石)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그 하면(下面)의 가장자리는 특별한 가공에 의해서 내부로 요입(凹入)되고 그곳에 폐색용(閉塞用) 석재 대가 깔려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개석(蓋石) 바로 밑부터 현실의 벽과 서로 6척 5촌 떨어져 있는 곳까지의 사이에는 약간의 절석(切石)이 마치 현실 안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같은 모양을 이루어 잔존하는데 이것은 연도를 폐색한 용재(用材)가 본래의 위치를 상실한 것일 것이다. 따라서 연도가 완전히 폐색되어 있었을 때에 그 전면(前面)은 방단(方壇)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연도의 현실과 서로 접하고 있는 부분에는 그 개석(蓋石)의 하면(下面) 및 좌우 벽에 띠 모양의 조출(造出)이 있어 본래 그곳에 비석(扉石) 등이 기대어 세워져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된다. 현실의 바닥에는 네 벽(四壁)을 따라서 폭 1척 정도의 얕은 도랑이 뚫어져 있고 주축(主軸)에 병행하여 2개의 관대(棺臺)가 매우 심하게 파손된 상태로 남아 있다. 관대의 폭은 4척 5, 6촌, 길이는 11척 정도로 각 사변(四邊)에 조금 높은 주연(周緣)을 만들고 있다. 이상은 장군총 자체의 구조에 대해서인데 그 바깥 주위를 점검하면 우리들이 주목할 가치가 있는 2, 3개의 유구(遺構)가 존재한다. 우선 4중(重)으로 쌓인 제1 방단(方壇, 기단)의 기저(基底)에는 매우 커다란 토대석(土臺石)이 있다. 그 일부는 2척 수 촌(數寸)의 폭인데 기단(基壇) 밖으로 비어져 나오고 있다. 기단의 남쪽 가장자리에 대해서 살펴보면 일석(一石)의 폭원(幅員)은 정면·우측면 모두 15척 이상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기단 밑에 숨겨져 있는 전체의 크기를 상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그 주위에는 지름 수 척(數尺)의 편평한 돌을 전면에 빈틈없이 깔고 있다. 부석(敷石)의 범위는 위의 토대석 주변에서 지름 십 수 척의 사이로 넓어지고 바깥쪽을 향하여 다소의 경사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기단의 사면(四面)에는 그것에 기대어 세워져 있던 거대한 자연석이 있고 그 하단을 토대석 주변의 부석(敷石) 위에 놓았다. 일면마다 3개씩 놓았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