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제2배총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제2배총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장군총제2배총 (도면)_2번 사진
    /
    74 18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서북쪽으로 약 120척 정도 거리이고 주분(主墳)의 동각(東角)과 서로 떨어져 있는 100척 정도인 곳에 매우 심하게 붕괴되어 있는 석총이 하나 있다. 위치 및 크기로 보면 1기(基)의 배총(陪塚)이라고 여겨질 만한 유구(遺構)가 존재한다. 네 변(四邊)은 각(各) 약 30척이다. 즉 제1 배총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높이는 현재 5척 내외에 지나지 않지만 수성(數成)의 방단(方壇)의 구축 흔적을 남기고 기단(基壇)의 사면(四面)에 기대어 세워진 특수한 석재(石材)도 일면(一面)에 3개씩 현존한다. 필자는 이를 1기(基)의 배총으로 보고 제2 배총이라고 이름을 붙이었다. 이 배총(陪塚)의 일변(一邊)과 폭원(幅員)을 동일하게 하였다. 바로 그 서북쪽에 240~250척 연장하는 길고 가느다란 지구(地區)는 조금 융기(隆起)되고 언뜻 보기에 도로와 같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자세하게 점검하면 이것도 붕괴된 일례(一例)의 석총(石塚)의 흔적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단지 석괴(石塊)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예(例)의 기대어 세운 돌(石)조차 여기저기에 유존한다. 즉 제2 배총(陪塚)의 서북쪽에는 그것에 이어지는 몇 개의 배총이 서로 접하여 군재(群在)한 것일 것이다. 필자는 잠정적으로 이를 장군총배총군(將軍塚陪塚群)이라고 이름을 붙이었다. 배총군의 바깥쪽은 길고 가느다랗게 움푹 패어져 함도(陷道)를 이루고(폭 15·6척) 그 함도에 접하는 배면(背面)의 언덕은 10척 정도 비스듬히 깎여 있다. 나중에 기술할 태왕릉(太王陵)은 북쪽에 언덕을 지고 그 기슭에는 석루(石壘)의 잔적(殘跡)이 인지되는데 이들은 서로 아주 비슷한 점이 있는 유구(遺構)이다. 따라서 오늘날 거의 알 수 없게 된 두 묘지의 조역(兆域)의 한계를 어느 정도까지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작물 설명
    서북쪽으로 약 120척 정도 거리이고 주분(主墳)의 동각(東角)과 서로 떨어져 있는 100척 정도인 곳에 매우 심하게 붕괴되어 있는 석총이 하나 있다. 위치 및 크기로 보면 1기(基)의 배총(陪塚)이라고 여겨질 만한 유구(遺構)가 존재한다. 네 변(四邊)은 각(各) 약 30척이다. 즉 제1 배총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높이는 현재 5척 내외에 지나지 않지만 수성(數成)의 방단(方壇)의 구축 흔적을 남기고 기단(基壇)의 사면(四面)에 기대어 세워진 특수한 석재(石材)도 일면(一面)에 3개씩 현존한다. 필자는 이를 1기(基)의 배총으로 보고 제2 배총이라고 이름을 붙이었다. 이 배총(陪塚)의 일변(一邊)과 폭원(幅員)을 동일하게 하였다. 바로 그 서북쪽에 240~250척 연장하는 길고 가느다란 지구(地區)는 조금 융기(隆起)되고 언뜻 보기에 도로와 같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자세하게 점검하면 이것도 붕괴된 일례(一例)의 석총(石塚)의 흔적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단지 석괴(石塊)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예(例)의 기대어 세운 돌(石)조차 여기저기에 유존한다. 즉 제2 배총(陪塚)의 서북쪽에는 그것에 이어지는 몇 개의 배총이 서로 접하여 군재(群在)한 것일 것이다. 필자는 잠정적으로 이를 장군총배총군(將軍塚陪塚群)이라고 이름을 붙이었다. 배총군의 바깥쪽은 길고 가느다랗게 움푹 패어져 함도(陷道)를 이루고(폭 15·6척) 그 함도에 접하는 배면(背面)의 언덕은 10척 정도 비스듬히 깎여 있다. 나중에 기술할 태왕릉(太王陵)은 북쪽에 언덕을 지고 그 기슭에는 석루(石壘)의 잔적(殘跡)이 인지되는데 이들은 서로 아주 비슷한 점이 있는 유구(遺構)이다. 따라서 오늘날 거의 알 수 없게 된 두 묘지의 조역(兆域)의 한계를 어느 정도까지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