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외형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외형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외형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외형 (도면)_3번 사진
    /
    66 23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의 서남쪽 약 3정(町)거리에 있다. 조금 높은 구릉(丘陵)의 남쪽 가장자리에 매우 심하게 황폐된 위대(偉大)한 석총(石塚)이 있다. 이를 태왕릉이라 하는데 장군총과 나란히 유명하다. 이렇게 명명(命名)된 것은 종래 석퇴(石堆) 안에서 다수의 전돌(塼)이 발견되었는데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이라고 양각(陽刻)된 명문(銘文)이 있었기 때문이다. 거의 원형을 남기지 않을 정도로 붕괴되어 있었지만 장군총과 동일한 형식의 것이었다는 것은 잔존하는 기단(基壇)의 일부와 기대어 세워져 있던 가공되지 않은 석재(石材), 상부(上部)의 중앙에 있는 석실(石室) 등에서 용이하게 추측될 수 있는 바이다. 일찍이 세키노(關野) 박사는 이 유구(遺構)의 요부(要部)를 실측하고 장군총을 참고하여 그 복원을 시도하였다. 우리들의 제2회벽화고분조사 시 우메하라(梅原) 씨 등은 조금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태왕릉(太王陵)의 평면은 방형(方形)을 이루고 기저(基底)의 사변(四邊)은 대략 방위선(方位線)과 일치하고 있다. 일변(一邊)의 길이는 약 212척이다. 즉 이 총(塚)의 기저는 장군총의 방의 약 100척에 대하여 4배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실로 놀랄만한 대규모의 것이다. 기단(基壇)의 주변에 기대어 세워져 있는 자연석(自然石)도 매우 큰데 가장 커다란 것은 높이 19척에 이른다. 현재 남변(南邊)에 5개, 동변(東邊)에 4개, 북변(北邊)에 1개, 서변(西邊)에 4개가 잔존하는데 본래 각 변(邊)에 5개씩 있었을 것이다. 방단(方壇)은 기단 위의 일단(一壇)만 반이 무너진 상태로 잔존한다. 기단의 석체(石?)는 6중(重), 높이 10척에 이른다. 위로 올라감에 따라서 용재(用材)의 높이를 체감(遞減)하였다. 아랫돌이 윗돌을 받치는 것에는 주연(周緣)을 설치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였다. 각 돌의 외면(外面)은 둥그스름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방단(方壇)은 붕괴의 정도가 특히 심하다. 단지 비교적 작은 천석(川石), 할석(割石)이 계속 이어져서 퇴적된 것을 볼 수가 있다. 우각(隅角)에 충당되었던 절석(切石)이 잔존하는 것도 적고 아주 근소하게 제2단 및 제3단의 형적(形迹)을 남기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총의 상부에는 석실(石室)의 천장석(天井石)을 위요(圍繞)하는 단상(壇狀)의 돌계단이 있다. 이 돌계단과 제3단과의 사이에 기성(幾成)의 방단(方壇)이 있었는지는 오늘날 명백히 밝히는 것은 불가능하다. 세키노 박사의 복원도에는 칠성(七成)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장군총으로부터 유추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일 것이다. 이 총의 평면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매우 크다. 그런데도 기저(基底)부터 석실(石室)의 천장석(天井石)에 이르는 높이는 44,5척을 넘지 않는다. 그것이 장군총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은 특히 주의해야 될 것이다. 생각건대 제2단 이상의 각 단의 높이는 비교적 낮고 그 꼭대기를 향한 체감률(遞減率)도 아주 컸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저작물 설명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의 서남쪽 약 3정(町)거리에 있다. 조금 높은 구릉(丘陵)의 남쪽 가장자리에 매우 심하게 황폐된 위대(偉大)한 석총(石塚)이 있다. 이를 태왕릉이라 하는데 장군총과 나란히 유명하다. 이렇게 명명(命名)된 것은 종래 석퇴(石堆) 안에서 다수의 전돌(塼)이 발견되었는데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이라고 양각(陽刻)된 명문(銘文)이 있었기 때문이다. 거의 원형을 남기지 않을 정도로 붕괴되어 있었지만 장군총과 동일한 형식의 것이었다는 것은 잔존하는 기단(基壇)의 일부와 기대어 세워져 있던 가공되지 않은 석재(石材), 상부(上部)의 중앙에 있는 석실(石室) 등에서 용이하게 추측될 수 있는 바이다. 일찍이 세키노(關野) 박사는 이 유구(遺構)의 요부(要部)를 실측하고 장군총을 참고하여 그 복원을 시도하였다. 우리들의 제2회벽화고분조사 시 우메하라(梅原) 씨 등은 조금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태왕릉(太王陵)의 평면은 방형(方形)을 이루고 기저(基底)의 사변(四邊)은 대략 방위선(方位線)과 일치하고 있다. 일변(一邊)의 길이는 약 212척이다. 즉 이 총(塚)의 기저는 장군총의 방의 약 100척에 대하여 4배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실로 놀랄만한 대규모의 것이다. 기단(基壇)의 주변에 기대어 세워져 있는 자연석(自然石)도 매우 큰데 가장 커다란 것은 높이 19척에 이른다. 현재 남변(南邊)에 5개, 동변(東邊)에 4개, 북변(北邊)에 1개, 서변(西邊)에 4개가 잔존하는데 본래 각 변(邊)에 5개씩 있었을 것이다. 방단(方壇)은 기단 위의 일단(一壇)만 반이 무너진 상태로 잔존한다. 기단의 석체(石?)는 6중(重), 높이 10척에 이른다. 위로 올라감에 따라서 용재(用材)의 높이를 체감(遞減)하였다. 아랫돌이 윗돌을 받치는 것에는 주연(周緣)을 설치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였다. 각 돌의 외면(外面)은 둥그스름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방단(方壇)은 붕괴의 정도가 특히 심하다. 단지 비교적 작은 천석(川石), 할석(割石)이 계속 이어져서 퇴적된 것을 볼 수가 있다. 우각(隅角)에 충당되었던 절석(切石)이 잔존하는 것도 적고 아주 근소하게 제2단 및 제3단의 형적(形迹)을 남기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총의 상부에는 석실(石室)의 천장석(天井石)을 위요(圍繞)하는 단상(壇狀)의 돌계단이 있다. 이 돌계단과 제3단과의 사이에 기성(幾成)의 방단(方壇)이 있었는지는 오늘날 명백히 밝히는 것은 불가능하다. 세키노 박사의 복원도에는 칠성(七成)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장군총으로부터 유추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일 것이다. 이 총의 평면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매우 크다. 그런데도 기저(基底)부터 석실(石室)의 천장석(天井石)에 이르는 높이는 44,5척을 넘지 않는다. 그것이 장군총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은 특히 주의해야 될 것이다. 생각건대 제2단 이상의 각 단의 높이는 비교적 낮고 그 꼭대기를 향한 체감률(遞減率)도 아주 컸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