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석실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석실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석실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태왕릉석실 (도면)_3번 사진
    /
    84 27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석실의 천장석은 화강암(花崗巖)의 큰 반석(磐石)이다. 동서쪽의 길이는 약 14척, 남북 쪽의 길이는 약 18척이다. 계속 이어지는 할석(割石), 천석(川石)의 퇴적(堆積) 중에 수평의 위치를 유지하여 그 표면을 노출하고 있다. 천장석의 주위에는 이것과 상면(上面)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방단상(方壇狀)의 석체(石?)가 있다. 석체의 일변(一邊)의 길이는 36척 5촌이다. 북변(北邊)은 벽의 높이가 5척 정도이다. 돌을 쌓는 방법은 산성자(山城子) 산성 등의 성벽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와적식(煉瓦積式)인데 이것이 본래 이 총의 일부(一部)를 이루는 구축이었는지 아닌지는 몹시 의심스럽다. 천장석은 옛날 그대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듯 하고 어떤 이동의 형적(形迹)도 인지되지 않는다. 그 아래에는 퇴석(堆石)에 반 정도 묻힌 석실(石室)이 유존(遺存)되어 있다. 내면(內面)의 상부(上部)의 넓이는 동서쪽 9척 5촌, 남북쪽 10척 남짓을 나타낸다. 남쪽 벽의 상부는 결손(缺損)되고 현재 여기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본래의 입구는 서측(西側)에 있었다. 단 대부분 매몰되어 있다. 세키노 박사가 현실은 남쪽에 면하고 연도(羨道)는 모두 파손되어 있을 거라고 보았던 것은 현재의 파구(破口)를 연도로 오인한 것이다. 연도는 하반부(下半部)만 유존되고 상반부(上半部)의 폐재(廢材)라고 생각되는 대석(大石)은 현실 외부의 서측(西側)에 흩어져 있다. 현실의 평면은 방형으로 서측의 중앙에 연도를 연다. 네 벽은 세로 1척 내외의 가공된 화강암의 석재를 정연하게 겹쳐 쌓았다. 그 상부는 점차적으로 선반받침(持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도의 윗벽과 현실의 천장과의 높이 차이는 4척을 넘지 않는다. 오늘날 측정하기 어려운 현실의 높이도 그만큼 크게 어림잡을 수는 없다. 요컨대 이 총의 석실의 규모는 장군총(將軍塚)에 뒤떨어지고 구축도 조금 간단하다. 그런데 총에도 장군총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둘러싼 조역(兆域)의 존재를 인지할 수가 있다. 총의 기변(基邊)은 위에서부터 무너진 퇴석(堆石)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구축에 대해서는 알 근거도 없다. 그것이 어찌되었든 간에 총의 주위를 멀리까지 널리 바라보면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서 천석(川石)이 깔려 있다. 현재 상면의 잔디밭으로 되어 있는 것이 그 부분이다. 총의 남쪽, 서쪽 모두와 동남쪽 방면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다. 그리고 총의 북측(北側)은 조금 높은 언덕에 접하고 있는데 총과 떨어져 있는 거리는 반 정(半町) 정도이다. 그 기슭에는 총의 기저(基底)에 병행하여 축조되어 있었던 석루(石壘)의 흔적이 있다. 그것이 서쪽, 남쪽 양쪽에도 미치고 있던 듯한 형적(形迹)은 1913(大正2)년 도리이(鳥居) 박사의 조사 시 동행자이었던 사와 ?이치(澤俊一) 씨가 촬영한 설경(雪景) 사진 위에 나타나 있다. 생각건대 이 석루는 조역의 경계를 구분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일 것이다.

    저작물 설명
    석실의 천장석은 화강암(花崗巖)의 큰 반석(磐石)이다. 동서쪽의 길이는 약 14척, 남북 쪽의 길이는 약 18척이다. 계속 이어지는 할석(割石), 천석(川石)의 퇴적(堆積) 중에 수평의 위치를 유지하여 그 표면을 노출하고 있다. 천장석의 주위에는 이것과 상면(上面)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방단상(方壇狀)의 석체(石?)가 있다. 석체의 일변(一邊)의 길이는 36척 5촌이다. 북변(北邊)은 벽의 높이가 5척 정도이다. 돌을 쌓는 방법은 산성자(山城子) 산성 등의 성벽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와적식(煉瓦積式)인데 이것이 본래 이 총의 일부(一部)를 이루는 구축이었는지 아닌지는 몹시 의심스럽다. 천장석은 옛날 그대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듯 하고 어떤 이동의 형적(形迹)도 인지되지 않는다. 그 아래에는 퇴석(堆石)에 반 정도 묻힌 석실(石室)이 유존(遺存)되어 있다. 내면(內面)의 상부(上部)의 넓이는 동서쪽 9척 5촌, 남북쪽 10척 남짓을 나타낸다. 남쪽 벽의 상부는 결손(缺損)되고 현재 여기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본래의 입구는 서측(西側)에 있었다. 단 대부분 매몰되어 있다. 세키노 박사가 현실은 남쪽에 면하고 연도(羨道)는 모두 파손되어 있을 거라고 보았던 것은 현재의 파구(破口)를 연도로 오인한 것이다. 연도는 하반부(下半部)만 유존되고 상반부(上半部)의 폐재(廢材)라고 생각되는 대석(大石)은 현실 외부의 서측(西側)에 흩어져 있다. 현실의 평면은 방형으로 서측의 중앙에 연도를 연다. 네 벽은 세로 1척 내외의 가공된 화강암의 석재를 정연하게 겹쳐 쌓았다. 그 상부는 점차적으로 선반받침(持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도의 윗벽과 현실의 천장과의 높이 차이는 4척을 넘지 않는다. 오늘날 측정하기 어려운 현실의 높이도 그만큼 크게 어림잡을 수는 없다. 요컨대 이 총의 석실의 규모는 장군총(將軍塚)에 뒤떨어지고 구축도 조금 간단하다. 그런데 총에도 장군총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둘러싼 조역(兆域)의 존재를 인지할 수가 있다. 총의 기변(基邊)은 위에서부터 무너진 퇴석(堆石)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구축에 대해서는 알 근거도 없다. 그것이 어찌되었든 간에 총의 주위를 멀리까지 널리 바라보면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서 천석(川石)이 깔려 있다. 현재 상면의 잔디밭으로 되어 있는 것이 그 부분이다. 총의 남쪽, 서쪽 모두와 동남쪽 방면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다. 그리고 총의 북측(北側)은 조금 높은 언덕에 접하고 있는데 총과 떨어져 있는 거리는 반 정(半町) 정도이다. 그 기슭에는 총의 기저(基底)에 병행하여 축조되어 있었던 석루(石壘)의 흔적이 있다. 그것이 서쪽, 남쪽 양쪽에도 미치고 있던 듯한 형적(形迹)은 1913(大正2)년 도리이(鳥居) 박사의 조사 시 동행자이었던 사와 ?이치(澤俊一) 씨가 촬영한 설경(雪景) 사진 위에 나타나 있다. 생각건대 이 석루는 조역의 경계를 구분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일 것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