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구조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구조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구조 (도면)_2번 사진
    /
    82 22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이 총(塚)은 무용총(舞踊塚)과 서로 나열되어 조금 낮은 장소에 마련된 토분이다.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불과 12, 3척에 지나지 않는다. 봉토(封土)는 원래의 원형(原形)을 상실하고 있다. 또한 방추형(方錐形)의 모양을 남기고 있다. 기저(基底)의 일변(一邊)의 길이는 46, 7척, 전체의 크기는 무용총(舞踊塚)과 같다. 우선 외관에 있어서 쌍묘(雙墓)라고 부를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의 석실(石室)은 주실(主室), 전실(前室)로 나뉘고 이들 2개의 실(室) 사이에 통로 및 연도(羨道)로 이루어진다. 주실은 방형(方形)이고 전실은 횡장(橫長)의 구형(矩形)이다. 서남쪽을 향하여 연도의 입을 벌리고 있다. 주축(主軸)은 봉토 평면의 중앙에 놓이는데 그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두 변(邊)과 병행한다. 이들 점(點) 또한 전적으로 무용총과 동일하고 그 때문에 양자 관계가 더욱 밀접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각저총은 이와 같이 무용총과 현저하게 비슷한 쌍묘(雙墓)의 하나이기 때문에 석실 각부(各部)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자(後者)와 동일한 기술(記述)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로 한다. 단지 그 실측도(實測圖)를 게재하는 것으로 설명을 대신 하겠다. 다만 주실(主室)의 천장 부분의 구조는 무용총에 비하면 다소 간단하여 차이가 있다. 즉 사방(四方)의 주벽(主壁) 위에 2층의 얕은 선반받침(持送)을 쌓아 올렸다. 다음으로 사우(四隅)에서 삼각형의 작은 선반받침을 내밀게 하여 팔각형을 만들고 그 형태를 ?는 4층의 선반받침을 쌓아 올린 후 최후의 개석(蓋石)에 이르고 있다. 연도의 전실(前室)에 접하는 부분 및 전실, 주실(主室) 사이 통로의 주실에 접하는 부분의 좌우 벽면에 목격(木格)이 붙어 있었던 흔적이 있다는 것은 무용총(舞踊塚)과 마찬가지인데 본 석실(石室)에서는 보다 현저하게 남는다. 특히 전자(前者), 즉 연도에 있어서의 그 부분은 칠식(漆?)을 시행한 벽면이 약간 높게 융기(隆起)하고 폭 약 7촌이 실측된다. 다음으로 통로에 접하는 전실(前室)의 오벽(奧壁)의 처마(楣)에는 본래 구형(矩形)의 목판(木板)이 끼워 넣어져 있던 것인데 목판은 완전히 썩어 버려 그 형적(形迹)만 남았다. 벽면의 칠식(漆?)의 두께는 5, 6분 정도이다. 또한 연도 입구의 내측(內側)에는 밑바닥에 깔린 한 장의 판석(板石)이 있다. 주실(主室)의 왼쪽 부분에는 관좌(棺座)의 잔편(殘片)으로 보아야 할 하나의 석재(石材)가 유존(遺存)되고 동시에 석실(石室)의 구조상 무용총과의 일치(一致)의 일단(一端)을 나타내고 있다.

    저작물 설명
    이 총(塚)은 무용총(舞踊塚)과 서로 나열되어 조금 낮은 장소에 마련된 토분이다.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불과 12, 3척에 지나지 않는다. 봉토(封土)는 원래의 원형(原形)을 상실하고 있다. 또한 방추형(方錐形)의 모양을 남기고 있다. 기저(基底)의 일변(一邊)의 길이는 46, 7척, 전체의 크기는 무용총(舞踊塚)과 같다. 우선 외관에 있어서 쌍묘(雙墓)라고 부를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의 석실(石室)은 주실(主室), 전실(前室)로 나뉘고 이들 2개의 실(室) 사이에 통로 및 연도(羨道)로 이루어진다. 주실은 방형(方形)이고 전실은 횡장(橫長)의 구형(矩形)이다. 서남쪽을 향하여 연도의 입을 벌리고 있다. 주축(主軸)은 봉토 평면의 중앙에 놓이는데 그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두 변(邊)과 병행한다. 이들 점(點) 또한 전적으로 무용총과 동일하고 그 때문에 양자 관계가 더욱 밀접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각저총은 이와 같이 무용총과 현저하게 비슷한 쌍묘(雙墓)의 하나이기 때문에 석실 각부(各部)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자(後者)와 동일한 기술(記述)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로 한다. 단지 그 실측도(實測圖)를 게재하는 것으로 설명을 대신 하겠다. 다만 주실(主室)의 천장 부분의 구조는 무용총에 비하면 다소 간단하여 차이가 있다. 즉 사방(四方)의 주벽(主壁) 위에 2층의 얕은 선반받침(持送)을 쌓아 올렸다. 다음으로 사우(四隅)에서 삼각형의 작은 선반받침을 내밀게 하여 팔각형을 만들고 그 형태를 ?는 4층의 선반받침을 쌓아 올린 후 최후의 개석(蓋石)에 이르고 있다. 연도의 전실(前室)에 접하는 부분 및 전실, 주실(主室) 사이 통로의 주실에 접하는 부분의 좌우 벽면에 목격(木格)이 붙어 있었던 흔적이 있다는 것은 무용총(舞踊塚)과 마찬가지인데 본 석실(石室)에서는 보다 현저하게 남는다. 특히 전자(前者), 즉 연도에 있어서의 그 부분은 칠식(漆?)을 시행한 벽면이 약간 높게 융기(隆起)하고 폭 약 7촌이 실측된다. 다음으로 통로에 접하는 전실(前室)의 오벽(奧壁)의 처마(楣)에는 본래 구형(矩形)의 목판(木板)이 끼워 넣어져 있던 것인데 목판은 완전히 썩어 버려 그 형적(形迹)만 남았다. 벽면의 칠식(漆?)의 두께는 5, 6분 정도이다. 또한 연도 입구의 내측(內側)에는 밑바닥에 깔린 한 장의 판석(板石)이 있다. 주실(主室)의 왼쪽 부분에는 관좌(棺座)의 잔편(殘片)으로 보아야 할 하나의 석재(石材)가 유존(遺存)되고 동시에 석실(石室)의 구조상 무용총과의 일치(一致)의 일단(一端)을 나타내고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