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_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_5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석실 (도면)_6번 사진
    /
    449 82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내부의 석실(石室)은 3개의 실(室)로 이루어진다. 세키노 박사의 명명(命名)은 이에 의한 것이다. 그 기저(基底)는 봉토(封土)의 기저와 거의 높이가 같고 그리고 후자(後者)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선도(羨道)는 동동북쪽 방향으로 제1실(室)로 통하고 선문(羨門)은 반괴(半壞)의 상태에서 막혀 있다. 이미 기술한 것과 같이 봉토의 표면에는 정부(頂部)에 가까이 함몰된 곳이 있고 거기에 석실의 개석(蓋石)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제1실의 개석이고 그 결손(缺損)된 부분에서 사다리를 이용하여 실내에 들어갈 수 있다. 석실은 석재(石材)를 겹쳐서 이를 쌓고 벽면에 두터운 칠식(漆?)을 시행하고 있는 것은 다른 벽화분(墳)과 동일하다. 그 평면을 엿보면 제1실은 방형(方形)이고 일변(一邊)의 길이는 10척 정도가 실측된다. 그리고 그 서쪽 벽은 길이 13척 남짓의 길고 가느다란 선도(羨道)로 통한다. 제2실은 제1실의 북쪽에 위치하고 양실(兩室)의 동쪽 벽을 따르는 통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제2실에는 또한 그 북쪽 벽을 따라서 서쪽으로 가는 통로가 있고 바로 서로 나란히 서 있는 제3실로 통한다. 즉 이들 3개의 실에 선도를 덧붙이면 석실 전체의 평면은 하나의 열쇠형(鍵形)을 나타내고 있다. 제1실이 방형인 것에 비하여 제2실과 제3실은 각 동서쪽으로 긴 구형(矩形)을 이룬다. 전자(前者)는 장변(長邊)이 9척 남짓하고 단변(短邊)은 약 7척이다. 후자(後者)는 장변 약 8척 5촌, 단변 약 7척 5촌으로 모두 제1실보다 약간 작다. 다음으로 입면(立面)을 살펴보면 선도 및 통로는 모두 직방형(直方形)을 이룬다. 형식은 매우 간단한데 삼구(三區)의 석실 구조는 약간 복잡하다. 즉 우선 높이 5척 정도의 수직인 네 벽을 쌓고 이를 주벽(主壁)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수 층(數層)의 얕은 선반받침(持送)을 쌓아 올려 차례차례로 수평면을 좁히고 게다가 직각삼각형 및 제형(梯形)의 평평한 선반받침을 부가하고 마지막으로 하면(下面)의 평평한 개석(蓋石)을 얹고 있다. 선반받침의 구축은 약간 불규칙적이지만 이것은 가공(加工)이 조잡(粗雜)한 석재를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3개의 실 중 비교적 규칙 바르게 축조된 것은 제1실이고 그 여러 층의 선반받침은 다른 삼각형 및 제형의 선반받침을 합하여 8층을 헤아린다. 8층의 전체 높이는 6척에 이른다. 칠식(漆?)의 박락(剝落)한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면 용재(用材)는 화강암이고 천장의 개석도 마찬가지이다. 제2실 및 제3실의 높이는 제1실에 비해서 약간 낮다. 이 총은 천장의 개석(蓋石)의 하나가 부서져 있기 때문에 그곳에서 무너져 떨어진 토사(土砂)는 제1실의 기저의 일부에 퇴적(堆積)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토착민(土民)의 출입 기와(起臥)하는 것도 있었다고 보인다. 우리들이 조사했을 때 3개의 실 모두 수수의 줄기 등으로 심하게 어질러져 있었다.

    저작물 설명
    내부의 석실(石室)은 3개의 실(室)로 이루어진다. 세키노 박사의 명명(命名)은 이에 의한 것이다. 그 기저(基底)는 봉토(封土)의 기저와 거의 높이가 같고 그리고 후자(後者)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선도(羨道)는 동동북쪽 방향으로 제1실(室)로 통하고 선문(羨門)은 반괴(半壞)의 상태에서 막혀 있다. 이미 기술한 것과 같이 봉토의 표면에는 정부(頂部)에 가까이 함몰된 곳이 있고 거기에 석실의 개석(蓋石)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제1실의 개석이고 그 결손(缺損)된 부분에서 사다리를 이용하여 실내에 들어갈 수 있다. 석실은 석재(石材)를 겹쳐서 이를 쌓고 벽면에 두터운 칠식(漆?)을 시행하고 있는 것은 다른 벽화분(墳)과 동일하다. 그 평면을 엿보면 제1실은 방형(方形)이고 일변(一邊)의 길이는 10척 정도가 실측된다. 그리고 그 서쪽 벽은 길이 13척 남짓의 길고 가느다란 선도(羨道)로 통한다. 제2실은 제1실의 북쪽에 위치하고 양실(兩室)의 동쪽 벽을 따르는 통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제2실에는 또한 그 북쪽 벽을 따라서 서쪽으로 가는 통로가 있고 바로 서로 나란히 서 있는 제3실로 통한다. 즉 이들 3개의 실에 선도를 덧붙이면 석실 전체의 평면은 하나의 열쇠형(鍵形)을 나타내고 있다. 제1실이 방형인 것에 비하여 제2실과 제3실은 각 동서쪽으로 긴 구형(矩形)을 이룬다. 전자(前者)는 장변(長邊)이 9척 남짓하고 단변(短邊)은 약 7척이다. 후자(後者)는 장변 약 8척 5촌, 단변 약 7척 5촌으로 모두 제1실보다 약간 작다. 다음으로 입면(立面)을 살펴보면 선도 및 통로는 모두 직방형(直方形)을 이룬다. 형식은 매우 간단한데 삼구(三區)의 석실 구조는 약간 복잡하다. 즉 우선 높이 5척 정도의 수직인 네 벽을 쌓고 이를 주벽(主壁)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수 층(數層)의 얕은 선반받침(持送)을 쌓아 올려 차례차례로 수평면을 좁히고 게다가 직각삼각형 및 제형(梯形)의 평평한 선반받침을 부가하고 마지막으로 하면(下面)의 평평한 개석(蓋石)을 얹고 있다. 선반받침의 구축은 약간 불규칙적이지만 이것은 가공(加工)이 조잡(粗雜)한 석재를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3개의 실 중 비교적 규칙 바르게 축조된 것은 제1실이고 그 여러 층의 선반받침은 다른 삼각형 및 제형의 선반받침을 합하여 8층을 헤아린다. 8층의 전체 높이는 6척에 이른다. 칠식(漆?)의 박락(剝落)한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면 용재(用材)는 화강암이고 천장의 개석도 마찬가지이다. 제2실 및 제3실의 높이는 제1실에 비해서 약간 낮다. 이 총은 천장의 개석(蓋石)의 하나가 부서져 있기 때문에 그곳에서 무너져 떨어진 토사(土砂)는 제1실의 기저의 일부에 퇴적(堆積)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토착민(土民)의 출입 기와(起臥)하는 것도 있었다고 보인다. 우리들이 조사했을 때 3개의 실 모두 수수의 줄기 등으로 심하게 어질러져 있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