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사신총내부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사신총내부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사신총내부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사신총내부 (도면)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사신총내부 (도면)_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사신총내부 (도면)_5번 사진
    /
    446 60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내부의 석실(石室)은 방형(方形)의 현실(玄室)에 연도(羨道)를 곁들인 것이다. 분구(墳丘)와 함께 기저(基底)를 지평면 상에 두고 연도의 입구는 봉토(封土)의 남변(南邊)에서 조금 안쪽으로 나아간 곳에 있다.실의 넓이는 12척 남짓인데 주의 깊고 세심하게 가공한 석회질혈석(石灰質頁石, Calcareous Shale)의 거재(巨材)를 3단으로 겹쳐 쌓고 높이 5척 남짓의 네 벽을 축조하였다. 이어진 곳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칠식(漆?)으로 메우고 있다. 단 벽면에는 칠식을 바르지 않고 벽화는 맨 바닥의 석벽(石壁)에 그려져 있다. 이 점이 사신도(四神圖)로 유명한 조선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 삼묘리(三墓里)의 대묘(大墓) 및 중묘(中墓)와 아주 비슷하다. 천장 부분은 가공한 화강암을 순차적으로 위쪽으로 보내어 구축되어 있다. 우선 네 벽의 상연(上緣)에는 이를 따라서 에워싼 양상(梁狀)의 선반받침(持送)이 있고 다음으로 제2단의 선반받침이 있다. 나중에 선반받침은 넓게 사우를 막은 것으로 각각 커다란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고 그 하나의 저변(底邊)과 다른 하나의 저변과의 사이에 서로 상접하지 않은 방형(方形)의 중간부(中間部)를 남긴다.(A?B?C?D는 이 부분 및 네 벽의 중점을 나타낸다.) 그 위에는 제형(梯形)의 저변을 네 벽에 병행(竝行)시킨 제3단의 선반받침을 구축하여 천장의 면적을 방(方) 6척 내외로 축소시켰다. 마지막에 그 전 면적을 덮기 위해 하면(下面)이 평평한 하나의 커다란 반석(盤石)이 얹혀 있다. 생각건대 이와 같은 구조법을 이용한 고구려 시대의 분묘의 석실은 평양 부근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단지 조금 상이한 것은 선반받침의 가구(架構)가 비교적 간단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진 장군총(將軍塚)의 석실(石室)에 비하면 천장 부분이 매우 넓은 공간을 막는데 하나의 커다란 반석(盤石)을 이용한 점에 있어서 서로 비슷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 총은 석실의 구조상 양자(兩者)의 중간 형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게다가 석실의 기저에 주의를 기울이면 여기에는 구형(矩形)의 석상(石牀)이 여러 개 있고 그 포열(布列)의 상태는 제13도의 평면도에 나타난 것과 같다. 석질(石質)은 각력응회석(角礫凝灰石, Tuff-Breccia)이다. 중앙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2개의 돌을 상호 합하여 하나의 평상을 이루고 있는 것인데 길이 8척 1촌, 폭 약 4척 5촌이 실측된다. 동쪽 벽에 접하는 하나의 평상은 길이가 전자(前者)와 동일하다. 폭은 조금 짧고, 북쪽, 서쪽 두 벽에 접하는 다른 세 개의 평상은 훨씬 작다. 생각건대 비교적 커다란 두 개의 평상은 이를 관좌(棺座)로 사용하고, 다른 세 개의 작은 평상은 부장품(副葬品) 등을 열치(列置)한 것일 것이다. 또한 삼각형 선반받침이 상접하지 않는 4곳의 방형 중간부분의 중심(A?B?C?D)에는 지름 2촌, 깊이 5촌 남짓의 커다란 못 구멍이 뚫려져 있는 것이 보인다.

    저작물 설명
    내부의 석실(石室)은 방형(方形)의 현실(玄室)에 연도(羨道)를 곁들인 것이다. 분구(墳丘)와 함께 기저(基底)를 지평면 상에 두고 연도의 입구는 봉토(封土)의 남변(南邊)에서 조금 안쪽으로 나아간 곳에 있다.실의 넓이는 12척 남짓인데 주의 깊고 세심하게 가공한 석회질혈석(石灰質頁石, Calcareous Shale)의 거재(巨材)를 3단으로 겹쳐 쌓고 높이 5척 남짓의 네 벽을 축조하였다. 이어진 곳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칠식(漆?)으로 메우고 있다. 단 벽면에는 칠식을 바르지 않고 벽화는 맨 바닥의 석벽(石壁)에 그려져 있다. 이 점이 사신도(四神圖)로 유명한 조선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 삼묘리(三墓里)의 대묘(大墓) 및 중묘(中墓)와 아주 비슷하다. 천장 부분은 가공한 화강암을 순차적으로 위쪽으로 보내어 구축되어 있다. 우선 네 벽의 상연(上緣)에는 이를 따라서 에워싼 양상(梁狀)의 선반받침(持送)이 있고 다음으로 제2단의 선반받침이 있다. 나중에 선반받침은 넓게 사우를 막은 것으로 각각 커다란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고 그 하나의 저변(底邊)과 다른 하나의 저변과의 사이에 서로 상접하지 않은 방형(方形)의 중간부(中間部)를 남긴다.(A?B?C?D는 이 부분 및 네 벽의 중점을 나타낸다.) 그 위에는 제형(梯形)의 저변을 네 벽에 병행(竝行)시킨 제3단의 선반받침을 구축하여 천장의 면적을 방(方) 6척 내외로 축소시켰다. 마지막에 그 전 면적을 덮기 위해 하면(下面)이 평평한 하나의 커다란 반석(盤石)이 얹혀 있다. 생각건대 이와 같은 구조법을 이용한 고구려 시대의 분묘의 석실은 평양 부근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단지 조금 상이한 것은 선반받침의 가구(架構)가 비교적 간단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진 장군총(將軍塚)의 석실(石室)에 비하면 천장 부분이 매우 넓은 공간을 막는데 하나의 커다란 반석(盤石)을 이용한 점에 있어서 서로 비슷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 총은 석실의 구조상 양자(兩者)의 중간 형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게다가 석실의 기저에 주의를 기울이면 여기에는 구형(矩形)의 석상(石牀)이 여러 개 있고 그 포열(布列)의 상태는 제13도의 평면도에 나타난 것과 같다. 석질(石質)은 각력응회석(角礫凝灰石, Tuff-Breccia)이다. 중앙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2개의 돌을 상호 합하여 하나의 평상을 이루고 있는 것인데 길이 8척 1촌, 폭 약 4척 5촌이 실측된다. 동쪽 벽에 접하는 하나의 평상은 길이가 전자(前者)와 동일하다. 폭은 조금 짧고, 북쪽, 서쪽 두 벽에 접하는 다른 세 개의 평상은 훨씬 작다. 생각건대 비교적 커다란 두 개의 평상은 이를 관좌(棺座)로 사용하고, 다른 세 개의 작은 평상은 부장품(副葬品) 등을 열치(列置)한 것일 것이다. 또한 삼각형 선반받침이 상접하지 않는 4곳의 방형 중간부분의 중심(A?B?C?D)에는 지름 2촌, 깊이 5촌 남짓의 커다란 못 구멍이 뚫려져 있는 것이 보인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